로고

로고

메뉴
  • 홍길동

    곽황우경제학부

  • 홍길동

    김문종바이오메디컬공학부(헬스케어정보공학)

  • 홍길동

    김민경기계설계공학

  • 홍길동

    김보배과학학과

  • 홍길동

    김여선스페인중남미학과

  • 홍길동

    노동현프랑스아프리카학과

  • 홍길동

    문성환프랑스아프리카학과

  • 홍길동

    문주희식품공학과

  • 홍길동

    박소정무용학과

  • 홍길동

    박하은문헌정보학과

  • 홍길동

    백예람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홍길동

    부시윤국어국문학과

  • 홍길동

    양다인국어국문학과

  • 홍길동

    원진서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홍길동

    이세은철학과

  • 홍길동

    이유정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홍길동

    이이레의류학과

  • 홍길동

    이정원고고문화인류학과

  • 홍길동

    이주은경영학과

  • 홍길동

    이하늘국어국문학과

  • 홍길동

    이혜린사학과

  • 홍길동

    임다미컴퓨터공학부

  • 홍길동

    임다연무역학과

  • 홍길동

    임양석현심리학과

  • 홍길동

    전채린사회학과

  • 홍길동

    정민재경영학과

  • 홍길동

    정현정무용학과

  • 홍길동

    최서정과학교육학부(물리교육전공)

  • 홍길동

    최용준전자공학부

  • 홍길동

    최자윤고고문화인류학과

  • 홍길동

    하장우프랑스아프리카학과

  • 홍길동

    한유희철학과

  • 홍길동

    홍은채경영학과

목록보기
土臺: 토대, 잊혀진 흙의 초상
TEAM_ 핑크 팀
https://youtu.be/v8oiy4gk9-c?si=z3dOrjnHd9b7EevV

인간의 이기심과 무관심은 자연의 파괴와 지역을 이루는 공간의 소멸이라는 비극적인 결말로 향해가고 있다. 본 전시는 '흙'을 중심 주제로 하여, 인간이 무심코 파괴하고 망가트려온 생태계가 스스로 본래의 모습을 되찾으려는 과정을 경고의 메세지로 담아내고자 한다. 여기에서 '흙'은 생명의 근원, 문명의 토대, 연결과 순환, 혹은 자연 그 자체를 나타내는 하나의 상징물로 작용한다.

'흙'은 우리의 일상생활 속, 어디에서나 존재하는 익숙한 요소이다. 이 친숙한 소재를 통해 관람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고자 한다. 영상과 설치 전시를 통해 인간이 자연과 공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스스로 상기시키고, 현재 생태계의 위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설치전시)
흙은 인류 문명의 시작점이자 삶의 터전이며, 역사는 흙 위에 새겨져 왔다. 흙은 생명의 근원이자 우리의 본질이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흙이 건낸 생명력을 바탕으로 일궈낸 결실을 뒤엎어버리기에 급급하다. 우리는 어떤 일이 진행되거나 나아감에 있어 견고한 ‘토대土臺’의 필요성을 알고 있다. 멀어져 버린 흙과의 관계를 위해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흙으로 뒤덮인 모습 속 식물의 싹은 새롭게 시작하는 생명의 상징이기도 하며, 동시에 인간이 놓친 기회와 경고를 의미한다.
팀장
이혜린
이혜린
촬영, 배우, 전시 소품 제작 및 설치, 총무
정현정
정현정
영상 담당 (연출, 감독, 촬영, 편집, 녹음, 조명)
하장우
하장우
영상 스토리 기획, 배우(흙괴물 역), 촬영 보조, 전시 연출, 전시 소품 제작
박하은
박하은
기획/전시 조형문 제작, 전시 공간 연출
문주희
문주희
영상 각본, 설치전시 기획, 설치전시 제작, 포스터 제작
김여선
김여선












 

영상
목록보기